태초 먹거리 '임산물' 생산·유통 규모화…산림청, 국가상표 '숲푸드'
임상섭 산림청장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 발표
숲푸드 올해 300개 등록 목표, 임산물 시장 확대 나서
지역특산품 개발 및 축제 연계, 생산 조직·규모화 추진

국내서 재배된 청정임산물의 국가공동상표가 본격 도입·활용되고 임산물 소비촉진을 위한 지역특산물 개발 및 생산·유통 규모화사업이 추진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청정한 산림에서 생산되는 건강한 임산물을 국민이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임 청장은 "임산물은 농·수산물 대비 인지도가 낮고 주식보다는 기호식품으로 소비범위 확장에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최근 식품업계의 ESG 경영강화와 임산물 시장에 긍정적인 소비트렌드, 소량·분산돼 생산하는 임산물 특성을 변화하는 시장에 접목하면 신성장동력 창출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먹거리 임산물'은 산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임산물 중 식용이 가능하거나 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식물·버섯류 및 그 부산물로 인류가 농경시대 이전에 채취하던 태초의 먹거리에서 기원한다.
풍부한 영양소와 약리·기능적 성분을 함유한 건강식품으로 탄소배출이 적고 화학비료나 농약 사용이 많지 않아 탄소감축과 토양오염 저감에도 기여도가 높다.
하지만 농·축·수산물에 비해 기호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해 소비량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를 개발해 임산물 소비 촉진 및 인지도 향상에 나서며 이를 통해 임업인의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소멸 대응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한 이번 대책은 국내 임산물의 소비기반을 확대하고 생산·유통·품질관리 전반을 장기·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4대 전략, 13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계획에 따르면 산림청은 국가공동상표 '숲푸드' 상표에 이어 대국민 홍보 및 판로 확대에 집중해 '숲푸드 대축제', '숲푸드 위크' 등 소비촉진 캠페인을 전개하고 임산물을 활용한 지역특산품 개발 및 지역축제와 연계한 판매 확대를 추진한다.
또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다각화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임산물의 기능성과 약리성을 제품이나 광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 기준을 마련해 홍보효과와 제품 신뢰도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임산물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는 표고버섯·산나물·감 등 먹거리 임산물 91종이 등록 대상이며 올해 300개 제품 등록을 목표로 2030년까지 1500개 제품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임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생산자의 조직·규모화도 추진한다. 품목별 자조금 조직을 지원해 생산자들의 협력을 증진하고 스마트임업 기술 및 기계장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하며 시설재배 보조금 지원 대상을 확대, 생산기반의 효율성을 높인다.
해외시장 진출 지원도 확대, 산림약용소재를 적극 발굴해 제약·건강기능식품산업 활성화를 꾀하고 산양삼, 초피 등 해외시장서 경쟁력이 높은 유망 임산물을 중심으로 신상품 개발 및 해외판로 개척에 나선다.
임 청장은 "농식품분야 인증 여부를 철저히 관리해 우리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임산물 명예감시원 제도를 도입, 불법 채취 및 부정 유통을 단속할 것"이라며 "임산물 소비가 증가하면 산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지속 가능한 산림 보전이 실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임 청장은 "임산물은 주로 농산촌에서 생산되는 관계로 임산물 소비활성화는 지역인구 유입과 지역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해 지역소멸위기 대응에도 효과적"이라며 "국민과 임업인이 함꼐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과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출처 : 뉴시스 김양수 기자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