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해안 발전소 긴급처방 시급하다
송전만 지연 가동률 10%대....정부가 경영난 해법 찾아야
수조 원을 들여 건설된 강원 동해안 일원의 화력발전소가 심각한 경영 위기에 몰렸습니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까지 공급할 송전망 건설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상적인 발전소 운영을 위해서는 가동률이 최소 60% 이상 유지해야 하지만 수년째 10~30%대에 머물러 일부 시설의 경우 연간 3000억 원대 규모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경영 위기를 넘어 부도에 몰릴 처지입니다.
동해안 석탄화력발전소는 강릉에코파워 강릉안인화력발전소 1·2호기(2.1GW), 삼척블루파워 삼척화력발전소 1·2호기(2.1GW), GS동해전력(1.2GW), 동해바이오화력(0.4GW) 등이 가동하고 있습니다. 강릉과 삼척 화력발전소는 2013년 2월 이명박 정부 당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삼성물산, 포스코 등 대기업이 각각 5조원 규모의 건설비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으로 투자한 사업입니다. 강릉안인화력은 지난 2022년부터, 삼척화력은 지난해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가동률은 10~20%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PF원리금 상환은 물론 직원들 인건비 지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입니다.
동해안 화력발전소의 저조한 가동률은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HVDC)’ 건설 일정이 당초 2019년말 준공에서 오는 2027년까지 차일피일 지연되면서 전력생산도 제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발전소가 정상 가동하기까지 빨라도 2~3년가량 추가 소요될 것으로 보여 경영위기를 풀어낼 긴급처방이 시급합니다. 동해안 화력발전소의 경영난은 지역경기에도 악영향입니다. 수십억 원 규모의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금이 축소되고 직원 감축도 뒤따르고 있습니다. 협력업체도 일감이 없어 개점휴업 상태입니다.
발전시설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중요 기간망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당면 현안인 AI·반도체 산업 육성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이뤄져야 가능합니다. 이런 면에서 정부는 동해안 화력발전소의 경영난과 송전망 건설 지연을 나 몰라라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우선 원전에 몰아주고 있는 기존 송전망의 일부라도 동해안 신규 화력발전소에 배정해 현재 위기상황에 숨통을 터줘야 합니다. 또 주민과 갈등을 빚고 있는 경기하남 동서울변전소 협의도 정부의 비상 대응팀을 가동해야 합니다. 화력발전소 건설계획부터 전력생산, 공급에 이르기까지 정부가 짊어져야 할 공적 책임임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https://www.kado.net) 2025-7-11
ps : 송전망때문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 잘 해결되길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