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목재 언론

산림청, 안동까지 번진 의성 안계면 산불 때 ‘예측시스템’ 미가동

728x90
반응형
SMALL

 

성·영덕 등 영남권 산불로 8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지난 3월22일 의성군 안계면에서 산불이 났을 때 산림청이 산불확산예측시스템(예측시스템)을 가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산불 진화 과정에서 초기 판단과 대응이 적절했느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산림청에서 받은 산불확산예측시스템 관련 자료를 보면, 3월22일 오전 11시24분 경북 의성군 안평면에서는 예측시스템이 ‘가동’됐다. 이날 오후 2시39분 의성군 안계면 양곡리에서는 예측시스템이 ‘미가동’됐다.

 

당시 산불 발생 시각을 보면, 3월22일 오전 11시24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고 오후 1시57분 금성면 청로리에서 불이 났다. 이어 오후 2시39분 의성군 안계면 양곡리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

 

예측시스템은 발화지 위치의 기상, 지형, 연료(임상) 등 자료를 활용해 시간대별 산불확산 경로를 예측·분석하는 시스템이다. 현장에서는 이 정보를 활용해 헬기, 인력, 차량 등 진화 자원을 배치·운영하고 지역주민의 대피 전략을 짜는 데 활용한다.

                                                                           사진제공 : 한겨레 송권재 기자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달 22일 오전 의성군 안평면 산불이 발생해 진화 중이었는데 오후에 의성군 안계면 산불 신고가 들어왔다”며 “안계면의 경우 산불이 나고 바로 진화 자원이 투입돼 확산 예측 없이 바로 상황도를 작성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이 확산한 3월24일부터는 안계면에 대한 예측시스템을 가동했다”고 했다. 하지만 안계면에서 난 불은 이날 진화되지 못하고 옆 지방자치단체인 안동으로까지 확산됐다.

 

이에 대해 황정석 산불방지정책연구소장은 “산불 발생 지점이 다르면 불의 확산 경로가 달라지는데 예측시스템을 선별적으로 가동하지 않은 건 초기 판단 대응을 잘못한 것”이라며 “그 불이 어떻게 퍼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시스템을 통한 대비책을 마련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스템을 가동해도 그 자료를 소방당국이나 지자체에 공유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3월까지 예측시스템 전체 활용 건수 265건 중에서 지자체에 공유한 건수는 195건(73.6%), 미공유는 70건(26.4%)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해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산림청은 10ha(헥타르) 이상 대형 산불이 발생할 때 예측시스템이 활용되지 않거나 산불 확산 정보가 지자체에 공유되지 않아 지적을 받기도 했다.

 

양부남 의원은 “지난달 발생한 ‘괴물 산불’의 피해로 많은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신속한 피해복구와 철저한 원인 규명을 통해 산불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산불 진화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집계(13일 오전 9시 기준)에 따르면 경북 의성 등 영남권 산불로 사망 31명, 중상 9명, 경상 43명 등 83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서울 면적의 80%인 4만8천여헥타르가 불에 탔다.

 

출처 : 한겨레 허윤희, 주성미 기자 2025-4-13

 

 

 

ps : 지금같이 대형산불 예방을 위한 예산과 지원을 통해서 보다나은 시스템이 구축되야 하겠네요....

 

728x90
반응형
LIST